맨위로가기

EC 번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EC 번호는 효소를 분류하기 위해 사용되는 일련의 숫자 코드이다. 이 코드는 "EC"로 시작하고 마침표로 구분된 4개의 숫자로 구성되며, 효소의 종류, 작용하는 기질, 반응의 종류 등을 세분화하여 나타낸다. 첫 번째 숫자는 효소의 종류를 나타내며, 1은 산화환원효소, 2는 전이효소, 3은 가수분해효소, 4는 분해효소, 5는 이성질화효소, 6은 연결효소, 7은 자리옮김효소이다. EC 번호는 효소의 명명법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국제 생화학·분자생물학 연합에 의해 부여된다. 효소의 계통명과 관용명을 부여하며, 효소 반응 간의 유사성을 파악하는 데에도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화학 번호 매기기 체계 - 유럽 공동체 번호
    유럽 공동체 번호는 유럽 연합에서 화학 물질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7자리 숫자 형식의 식별 번호로, 기존 상업용 화학 물질 유럽 목록, 통지된 화학 물질 유럽 목록 등 다양한 목록에 사용되며 유럽 화학 물질청에서 '목록 번호'를 할당하기도 한다.
  • 화학 번호 매기기 체계 - 바일슈타인 등록번호
    바일슈타인 등록번호에 대한 정보는 현재 제공되지 않아, 해당 항목에 대한 소개를 할 수 없다.
  • 화학정보학 - 민감도와 특이도
    민감도와 특이도는 의학적 진단에서 검사의 정확성을 평가하는 지표로, 민감도는 실제 양성인 대상 중 양성으로 나타나는 비율, 특이도는 실제 음성인 대상 중 음성으로 나타나는 비율을 의미하며, 선별 검사에서 두 지표를 모두 높여 질병을 정확하게 진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화학정보학 - 화학 데이터베이스
    화학 데이터베이스는 화학 구조, 반응, 스펙트럼, 물성 등 화학 정보들을 디지털 형태로 저장 및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화학 물질 특성 규명, 신약 설계, 물질 검색 등에 활용되며 부분 구조 검색과 같은 기능도 제공한다.
EC 번호

2. 번호 형식

모든 효소 코드는 "EC" 문자와 그 뒤에 마침표로 구분된 4개의 숫자로 구성된다. 이 숫자들은 효소의 분류를 점진적으로 세분화하여 나타낸다. 분류는 계층적이어서 "EC X.X.X.X" (X는 숫자) 형식으로 표기된다. 네 번째 숫자에 'n'이 포함된 예비 EC 번호도 존재할 수 있다(예: EC 3.5.1.n3).

EC 번호는 효소의 반응 특이성(어떤 종류의 반응을 촉매하는지)과 기질 특이성(어떤 분자에 작용하는지)의 차이에 따라 분류된다. 첫 번째 숫자는 효소의 가장 큰 분류를 나타내며,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첫 번째 숫자효소 분류설명
EC 1산화 환원 효소 (옥시도레덕타제)산화 환원 반응을 촉매한다.
EC 2전이 효소 (트랜스퍼라제)원자단 (관능기 등)을 한 분자에서 다른 분자로 옮기는 반응을 촉매한다.
EC 3가수 분해 효소 (하이드롤라제)가수 분해 반응을 촉매한다.
EC 4분해 효소 (리아제)가수 분해나 산화 환원 외의 방법으로 특정 화학 결합을 끊거나 형성하는 반응을 촉매한다. 종종 새로운 이중 결합을 만들거나 고리 구조를 형성한다.
EC 5이성질화 효소 (아이소머라제)분자 내에서 원자의 배열을 바꿔 이성질체를 만드는 반응을 촉매한다.
EC 6연결 효소 (리가아제)ATP와 같은 에너지원을 사용하여 두 분자를 연결하는 반응을 촉매한다.
EC 7수송 효소 (트랜스로카제)생체막을 가로질러 이온이나 분자를 이동시키는 반응을 촉매한다.



이후의 숫자들은 반응 특이성과 기질의 차이에 따라 더욱 세부적으로 분류된다. 현재 약 8,000 종류의 효소 반응이 발견되어 EC 번호가 부여되었다.

EC 번호는 특정 효소 분자 하나를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동일한 기질에 대해 동일한 화학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 그룹에 부여된다. 따라서 구조는 다르지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아이소자임들은 같은 EC 번호를 갖는다. 또한, 하나의 효소가 여러 가지 활성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Lon 프로테아제와 같은 ATP 의존성 프로테아제는 단백질 가수 분해 활성(EC 3.4)과 ATP 가수 분해 활성(EC 3.6)을 모두 가진다.

2. 1. 예시

모든 효소 코드는 "EC" 문자와 그 뒤에 마침표로 구분된 4개의 숫자로 구성된다. 이 숫자들은 효소를 점진적으로 더 세분화하여 분류하는 것을 나타낸다. 네 번째 숫자의 일부로 "n"이 포함된 예비 EC 번호도 존재한다(예: EC 3.5.1.n3).

예를 들어, 트라이펩타이드 아미노펩티데이스는 "EC 3.4.11.4" 코드를 가지며, 각 숫자는 다음과 같은 효소 분류를 의미한다.

  • EC 3: 가수분해효소(을 사용하여 다른 분자를 분해하는 효소)
  • EC 3.4: 펩타이드 결합에 작용하는 가수분해효소
  • EC 3.4.11: 폴리펩타이드의 아미노 말단 아미노산을 절단하는 가수분해효소
  • EC 3.4.11.4: 트라이펩타이드의 아미노 말단을 절단하는 효소

3. 최상위 분류

EC 번호는 효소의 계통적 분류와 관계가 깊다. 또한 분류의 기준에 공통항이 존재하기 때문에 계통적 명명법과 EC 번호와는 적지 않은 대응 관계를 찾아낼 수 있다. EC 번호의 분류 기준은 효소의 특성인 반응 특이성과 기질 특이성의 차이로 구분되어 있다. 다시 말해 효소 반응의 종류(반응 특이성의 차이를 의미함)와 기질의 종류(기질 특이성의 차이를 의미함)로 분류한 번호이다.

첫 번째 숫자는 효소가 촉매하는 반응의 종류에 따라 다음과 같이 7개의 주요 부류로 나뉜다.


  • EC 1: 산화환원효소 (옥시도레덕타제) - 산화환원반응을 촉매한다.
  • EC 2: 전이효소 (트랜스퍼라제) - 한 분자에서 다른 분자로 작용기를 옮기는 반응을 촉매한다.
  • EC 3: 가수분해효소 (하이드롤라제) - 가수분해 반응을 촉매한다.
  • EC 4: 분해효소 (리아제) - 가수분해 외의 방법으로 화학 결합을 끊거나 형성하는 반응을 촉매한다. 종종 새로운 이중 결합을 만들거나 고리 구조를 형성한다.
  • EC 5: 이성질화효소 (아이소머라제) - 분자 내에서 원자 배열을 바꾸어 이성질체를 만드는 반응을 촉매한다.
  • EC 6: 연결효소 (리가아제) - ATP와 같은 에너지원을 사용하여 두 분자를 연결하는 반응을 촉매한다.
  • EC 7: 자리옮김효소 (트랜스로카제) - 생체막을 가로질러 이온이나 분자를 이동시키는 반응을 촉매한다.


더욱 세부적인 반응 특이성의 차이나 기질의 차이에 의해 두 번째, 세 번째, 네 번째 숫자가 할당된다. 반응 물질이 둘 이상일 때는 콜론으로 묶을 수도 있다.

최상위 분류군의 EC 번호[20]
부류촉매하는 반응전형적인 반응관용명을 가지고 있는 효소의 예
EC 1
산화환원효소
산화환원반응을 촉매함. 한 물질에서 다른 물질로 수소(H)나 산소(O) 원자 또는 전자를 전달함AH + B → A + BH (환원됨)
A + O → AO (산화됨)
탈수소효소, 산화효소
EC 2
전이효소
한 물질에서 다른 물질로 작용기를 전달함. 이러한 작용기메틸기, 아실기, 아미노기 또는 인산기일 수 있음AB + C → A + BC아미노기전이효소, 키네이스
EC 3
가수분해효소
가수분해반응을 촉매함AB + H2O → AOH + BH지질가수분해효소, 아밀레이스, 단백질가수분해효소, 인산가수분해효소
EC 4
분해효소
기질로부터 작용기의 비가수분해적 첨가 또는 제거. C–C, C–N, C–O 또는 C–S 결합이 절단될 수 있음RCOCOOH → RCOH + CO2 또는 [X-A+B-Y] → [A=B + X-Y]탈카복실화효소
EC 5
이성질화효소
분자 내 재배열, 즉 단일 분자 내에서의 이성질화ABC → BCA이성질화효소, 뮤테이스
EC 6
연결효소
ATP의 분해와 함께 새로운 C–C, C–N, C–O 또는 C–S 결합을 생성해 두 분자를 결합시킴X + Y + ATP → XY + ADP + Pi합성효소
EC 7
자리옮김효소
생체막을 가로지르는 이온 또는 분자의 이동이나 막 내에서의 분리를 촉매함수송체



모든 효소에 대해서 이 번호가 할당되어 있으며 현재 약 8,000 종류 정도의 반응이 발견되었다.[21] 또한 어떤 활성을 담당하는 효소가 다른 활성을 가지는 경우도 많다. 예를 들어, ATP 의존성 단백질가수분해효소인 Lon은 ATP 가수분해 반응(EC 3.6.4.-)과 단백질 가수분해 반응(EC 3.4.21.53) 활성을 모두 가진다.

EC 번호는 특정 효소 단백질 하나를 지정하는 것이 아니라, 같은 기질에 대해 같은 화학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들의 그룹에 할당된다. 따라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지만 아미노산 서열이 다른 동질효소(isozyme)들은 같은 EC 번호를 부여받게 된다.

4. 하위 분류

모든 효소 코드는 "EC" 문자와 그 뒤에 마침표로 구분된 네 개의 숫자로 구성된다. 이 숫자들은 효소를 점진적으로 더 세분화하여 분류하는 데 사용된다. 네 번째 숫자에 "n"이 포함된 예비 EC 번호도 존재한다(예: EC 3.5.1.n3).

예를 들어, 트라이펩타이드 아미노펩티데이스는 "EC 3.4.11.4"라는 코드를 가지는데, 각 숫자는 다음과 같은 효소 그룹을 나타낸다.


  • EC 3: 가수분해효소( 분자를 이용하여 다른 분자를 분해하는 효소)
  • EC 3.4: 펩타이드 결합에 작용하는 가수분해효소
  • EC 3.4.11: 폴리펩타이드의 아미노 말단 아미노산을 절단하는 가수분해효소
  • EC 3.4.11.4: 트라이펩타이드의 아미노 말단을 절단하는 가수분해효소


EC 번호는 효소의 계통적 분류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분류 기준에 공통점이 있어 계통적 명명법과 어느 정도 대응된다. EC 번호의 분류 기준은 효소가 촉매하는 반응의 종류(반응 특이성)와 반응하는 기질의 종류(기질 특이성)에 따른다.

EC 번호의 첫 번째 숫자는 효소의 주요 반응 유형을 나타내며, 다음과 같이 7가지 주요 그룹으로 나뉜다. 각 그룹은 다시 반응 특이성과 기질의 차이에 따라 세분화된다.

  • '''EC 1.X.X.X''': 산화환원효소 (옥시도레덕타제) - 산화 환원 반응을 촉매한다.
  • '''EC 2.X.X.X''': 전이효소 (트랜스퍼라제) - 작용기를 한 분자에서 다른 분자로 옮긴다.
  • '''EC 3.X.X.X''': 가수분해효소 (하이드롤라제) - 가수분해 반응을 촉매한다.
  • '''EC 4.X.X.X''': 분해효소 (리아제) - 가수분해나 산화환원 외의 방법으로 화학 결합을 끊거나 형성하며, 종종 이중 결합을 만들거나 제거한다.
  • '''EC 5.X.X.X''': 이성질화효소 (아이소머라제) - 분자 내 원자 배열을 바꿔 이성질체를 만든다.
  • '''EC 6.X.X.X''': 연결효소 (리가아제) - ATP 등의 에너지를 사용하여 두 분자를 연결한다.
  • '''EC 7.X.X.X''': 자리옮김효소 (트랜스로케이스) - 생체막을 가로질러 이온이나 분자를 이동시킨다.


현재까지 약 8,000 종류의 효소 반응이 발견되어 EC 번호가 할당되었다. 하나의 효소가 여러 가지 활성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Lon 프로테아제는 ATP 가수 분해 반응 외에 단백질의 가수 분해 반응에 대한 활성도 가지고 있다.

또한, EC 번호는 특정 효소 하나를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동일한 기질에 동일한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 그룹에 부여된다. 따라서 구조는 다르지만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아이소자임들은 동일한 EC 번호를 갖는다.

4. 1. EC 1: 산화환원효소

EC 1 산화환원효소는 산화환원반응을 촉매하는 효소이다. 이는 한 물질에서 다른 물질로 수소(H)나 산소(O) 원자 또는 전자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대표적인 예로 탈수소효소나 산화효소가 있다.[20][5] EC 1은 작용하는 기질과 반응의 종류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세분화된다.

  • '''EC 1.1.–''': 공여체의 CH–OH기에 작용한다.
  • EC 1.1.1.–: NAD+ 또는 NADP+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1.2.–: 사이토크롬을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1.3.–: 산소를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1.4.–: 다이설파이드를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1.5.–: 퀴논 또는 그 유사 화합물을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1.99.–: 기타 물질을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2.–''': 공여체의 알데하이드 또는 케톤기에 작용한다.
  • EC 1.2.1.–: NAD+ 또는 NADP+를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2.2.–: 사이토크롬을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2.3.–: 산소를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2.4.–: 다이설파이드를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2.5.–: 해당 없음
  • EC 1.2.6.–: 해당 없음
  • EC 1.2.7.–: 철-황 단백질을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2.99.–: 기타 물질을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3.–''': 공여체의 CH–CH기에 작용한다.
  • EC 1.3.1.–: NAD+ 또는 NADP+를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3.2.–: 사이토크롬을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3.3.–: 산소를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3.5.–: 퀴논 또는 관련 화합물을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3.7.–: 철-황 단백질을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3.99.–: 기타 물질을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4.–''': 공여체의 CH–NH2기에 작용한다.
  • EC 1.4.1.–: NAD+ 또는 NADP+를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4.2.–: 사이토크롬을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4.3.–: 산소를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4.4.–: 다이설파이드를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4.7.–: 철-황 단백질을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4.99.–: 기타 물질을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5.–''': 공여체의 CH–NH기에 작용한다.
  • EC 1.5.1.–: NAD+ 또는 NADP+를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5.3.–: 산소를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5.4.–: 다이설파이드를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5.5.–: 퀴논 또는 관련 화합물을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5.7.–: 철-황 단백질을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5.8.–: 플라빈을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5.99.–: 기타 물질을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6.–''': NADH 또는 NADPH에 직접 작용한다.
  • EC 1.6.1.–: NAD+ 또는 NADP+를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6.2.–: 사이토크롬 또는 단백질을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6.3.–: 산소를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6.4.–: 다이설파이드를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6.5.–: 퀴논 또는 관련 화합물을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6.6.–: 질소 화합물을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6.7.–: 철-황 단백질을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6.8.–: 플라빈을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6.99.–: 기타 물질을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7.–''': 다른 질소 화합물을 전자공여체로 사용한다.
  • EC 1.7.1.–: NAD+ 또는 NADP+를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7.2.–: 사이토크롬을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7.3.–: 산소를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7.7.–: 철-황 단백질을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7.99.–: 기타 물질을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8.–''': 공여체의 황기에 작용한다.
  • EC 1.8.1.–: NAD+ 또는 NADP+를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8.2.–: 사이토크롬을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8.3.–: 산소를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8.4.–: 다이설파이드를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8.5.–: 퀴논 또는 관련 화합물을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8.6.–: 질소 화합물을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8.7.–: 철-황 단백질을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8.98.–: 알려진 기타 물질을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8.99.–: 기타 물질을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9.–''': 공여체의 기에 작용한다.
  • EC 1.9.3.–: 산소를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9.6.–: 질소 화합물을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9.99.–: 기타 물질을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10.–''': 다이페놀 및 관련 화합물을 공여체로 작용한다.
  • EC 1.10.1.–: NAD+ 또는 NADP+를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10.2.–: 사이토크롬을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10.3.–: 산소를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10.99.–: 기타 물질을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11.–''': 과산화물을 전자수용체로 작용한다 (퍼옥시데이스).
  • EC 1.11.1.–: 퍼옥시데이스
  • '''EC 1.12.–''': 수소를 전자공여체로 작용한다.
  • EC 1.12.1.–: NAD+ 또는 NADP+를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12.2.–: 사이토크롬을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12.5.–: 퀴논 또는 관련 화합물을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12.7.–: 철-황 단백질을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12.98.–: 알려진 기타 물질을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12.99.–: 기타 물질을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13.–''': 단일 공여체에 작용하며 분자상 산소를 통합한다 (산소화효소).
  • EC 1.13.11.–: 2개의 산소 원자를 통합한다 (다이옥시제네이스).
  • EC 1.13.12.–: 1개의 산소 원자를 통합한다 (모노옥시제네이스).
  • EC 1.13.99.–: 기타 (분류가 필요한 산소화효소).
  • '''EC 1.14.–''': 짝지어진 공여체에 작용하며, 분자상 산소를 통합하거나 환원시킨다.
  • EC 1.14.2.–: 아스코르브산을 전자공여체로 사용한다.
  • EC 1.14.3.–: 환원된 프테리딘을 전자공여체로 사용한다.
  • EC 1.14.11.–: 2-옥소글루타르산류를 하나의 전자공여체로 하여, 산소 원자를 각각의 전자공여체에 도입한다.
  • EC 1.14.12.–: NADH 또는 NADPH를 하나의 전자공여체로 하여, 한쪽 전자공여체가 2개의 산소 원자를 도입한다.
  • EC 1.14.13.–: NADH 또는 NADPH를 하나의 전자공여체로 하여, 1개의 산소 원자를 도입한다.
  • EC 1.14.14.–: 플라빈 또는 플라보단백질을 하나의 전자공여체로 하여, 한 분자의 산소를 도입한다.
  • EC 1.14.15.–: 환원형 철-황 단백질을 하나의 전자공여체로 하여, 한 분자의 산소를 도입한다.
  • EC 1.14.16.–: 환원형 프테리딘을 하나의 전자공여체로 하여, 한 분자의 산소를 도입한다.
  • EC 1.14.17.–: 환원형 아스코르브산류를 하나의 전자공여체로 하여, 한 분자의 산소를 도입한다.
  • EC 1.14.18.–: 기타 분자를 하나의 전자공여체로 하여, 한 분자의 산소를 도입한다.
  • EC 1.14.19.–: 2전자 산화에 의해 분자상 산소가 환원되어 2분자의 물이 된다.
  • EC 1.14.20.–: 2-옥소글루타르산류를 하나의 전자공여체로 하여, 다른 쪽을 탈수소화한다.
  • EC 1.14.21.–: NADH 또는 NADPH를 하나의 전자공여체로 하여, 다른 쪽을 탈수소화한다.
  • EC 1.14.99.–: 기타 전자에 대한 산화환원효소.
  • '''EC 1.15.–''': 초과산화물을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16.–''': 금속 이온을 산화시킨다.
  • EC 1.16.1.–: NADH 또는 NADPH를 전자공여체로 사용한다.
  • EC 1.16.3.–: 산소를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16.8.–: 플라빈을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17.–''': 메틸렌기 또는 메틸기에 작용한다.
  • EC 1.17.1.–: NAD+ 또는 NADP+를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17.3.–: 산소를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17.4.–: 다이설파이드를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17.5.–: 퀴논 또는 관련 화합물을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17.99.–: 기타 물질을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18.–''': 철-황 단백질을 전자공여체로 사용한다.
  • EC 1.18.1.–: NAD+ 또는 NADP+를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18.3.–: 수소 이온을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18.6.–: 질소 분자를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EC 1.18.2는 폐지된 것으로 보임)
  • EC 1.18.96.–: 알려진 기타 물질을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18.99.–: 수소 이온을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19.–''': 환원형 플라보독신을 전자공여체로 사용한다.
  • EC 1.19.6.–: 질소 분자를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20.–''': 인 또는 비소를 전자공여체로 사용한다.
  • EC 1.20.1.–: 인 또는 비소를 전자공여체로 사용하고 NAD(P)+를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20.4.–: 인 또는 비소를 전자공여체로 사용하고 다이설파이드를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20.98.–: 인 또는 비소를 전자공여체로 사용하고 알려진 기타 물질을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20.99.–: 인 또는 비소를 전자공여체로 사용하고 기타 물질을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21.–''': X–H 및 Y–H 화합물로부터 X–Y 결합을 생성한다.
  • EC 1.21.3.–: 산소를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21.4.–: 다이설파이드를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21.99.–: 기타 물질을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1.97.–''': 기타 산화환원효소.
  • '''EC 1.98.–''': 수소 분자환원제로 사용하는 효소.
  • '''EC 1.99.–''': 산소 분자를 산화제로 사용하는 효소. (EC 1.99.1과 EC 1.99.2는 각각 EC 1.14와 EC 1.13으로 통합됨)

4. 2. EC 2: 전이효소

EC 2 그룹은 전이효소로 분류되며, 한 물질(공여체)에서 다른 물질(수용체)로 특정 작용기를 옮기는 반응을 촉매한다.[20][5] 이때 전달되는 작용기는 메틸기, 아실기, 아미노기, 인산기 등 다양하다.[20] 전이효소에 의한 반응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AB + C → A + BC`

대표적인 전이효소로는 아미노기전이효소와 키네이스 등이 있다.[5]

EC 2는 옮기는 작용기의 종류에 따라 다음과 같이 더 세분화된다.

  • EC 2.1.–: 탄소 원자가 1개인 작용기를 옮긴다.
  • EC 2.1.1.–: 메틸기를 옮긴다.
  • EC 2.1.2.–: 하이드록시메틸기 또는 폼일기를 옮긴다.
  • EC 2.1.3.–: 카복실기 또는 카르바모일기를 옮긴다.
  • EC 2.1.4.–: 아미디노기를 옮긴다.
  • EC 2.2.–: 알데하이드 또는 케톤을 옮긴다.
  • EC 2.2.1.–: 알데하이드 또는 케톤을 옮긴다.
  • EC 2.3.–: 아실기를 옮긴다.
  • EC 2.3.1.–: 아미노아실기 이외의 아실기를 옮긴다.
  • EC 2.3.2.–: 아미노아실기를 옮긴다.
  • EC 2.3.3.–: 아실기를 전이할 때 알킬기로의 변환을 수반한다.
  • EC 2.4.–: 글리코실기를 옮긴다.
  • EC 2.4.1.–: 6탄당 잔기를 옮긴다.
  • EC 2.4.2.–: 5탄당 잔기를 옮긴다.
  • EC 2.4.99.–: 기타 글리코실기를 옮긴다.
  • EC 2.5.–: 메틸기 이외의 알킬기 또는 아릴기를 옮긴다.
  • EC 2.6.–: 질소 함유 작용기를 옮긴다.
  • EC 2.6.1.–: 아미노기를 옮긴다.
  • EC 2.6.2.–: 아미디노기를 옮긴다. (소스에 따라 화학식 표기가 H2NCNH- 또는 -CNHNH2로 다름)
  • EC 2.6.3.–: 옥심기를 옮긴다.
  • EC 2.6.99.–: 기타 질소 함유 작용기를 옮긴다.
  • EC 2.7.–: 을 함유한 작용기를 옮긴다.
  • EC 2.7.1.–: 키네이스 (하이드록실기에 연결함)
  • EC 2.7.2.–: 카복실기로 옮긴다.
  • EC 2.7.3.–: 질소 함유 작용기로 옮긴다.
  • EC 2.7.4.–: 인산기로 옮긴다.
  • EC 2.7.5.–: 분자 내에서의 이동을 촉매한다. (초기 분류, 이후 EC 5.4.2로 편입됨)
  • EC 2.7.6.–: 이인산기를 옮긴다.
  • EC 2.7.7.–: 뉴클레오타이드를 옮긴다. (소스에 따라 '핵산'으로 표기되기도 함)
  • EC 2.7.8–: 그 외에 인산기를 포함하는 작용기를 옮긴다.
  • EC 2.7.9–: 복수의 분자를 수용체로 사용한다.
  • EC 2.7.10.–: 단백질-티로신 키네이스
  • EC 2.7.11.–: 단백질-세린/트레오닌 키네이스
  • EC 2.7.12.–: 이중 특이성 키네이스 (세린/트레오닌 또는 티로신 잔기에 작용)
  • EC 2.7.13.–: 단백질-히스티딘 키네이스
  • EC 2.7.99.–: 기타 키네이스
  • EC 2.8.–: 을 함유한 작용기를 옮긴다.
  • EC 2.8.1.–: 황전이효소 (설퍼트랜스퍼레이스)
  • EC 2.8.2.–: 설포전이효소 (설포트랜스퍼레이스)
  • EC 2.8.3.–: CoA 전이효소
  • EC 2.8.4.–: 알킬싸이오기전이효소 (알킬티오기 전이 효소)
  • EC 2.9.–: 셀레늄을 함유한 작용기를 옮긴다.
  • EC 2.9.1.–: 셀레노트랜스퍼레이스

4. 3. EC 3: 가수분해효소

EC 3 (가수분해효소, Hydrolase|하이드롤레이스eng)는 가수분해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이다.[20][5] 가수분해는 물 분자를 사용하여 화학 결합을 끊는 반응으로, 일반적인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AB + H2O → AOH + BH

대표적인 가수분해효소로는 리파아제, 아밀라아제, 펩티데이스, 포스파타아제 등이 있다.[5]

가수분해효소는 작용하는 화학 결합의 종류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세분화된다.

  • EC 3.1.–: 에스터 결합에 작용하는 효소 (에스터가수분해효소)
  • * EC 3.1.1.–: 카복실산 에스터가수분해효소
  • * EC 3.1.2.–: 3가 알코올의 에스터가수분해효소
  • * EC 3.1.3.–: 1가 인산 에스터가수분해효소
  • * EC 3.1.4.–: 포스포다이에스터가수분해효소
  • * EC 3.1.5.–: 삼인산 모노에스터가수분해효소
  • * EC 3.1.6.–: 황산 에스터가수분해효소
  • * EC 3.1.7.–: 이인산 모노에스터가수분해효소
  • * EC 3.1.8.–: 인산 트라이에스터가수분해효소
  • * EC 3.1.11.–: 5'-인산 모노에스터 생성 엔도디옥시리보뉴클레이스
  • * EC 3.1.13.–: 5'-인산 모노에스터 생성 엑소리보뉴클레이스
  • * EC 3.1.14.–: 3'-인산 모노에스터 생성 엑소리보뉴클레이스
  • * EC 3.1.15.–: RNA 또는 DNA에 작용하는, 5'-인산 모노에스터 생성 엑소뉴클레이스
  • * EC 3.1.16.–: RNA 또는 DNA에 작용하는, 3'-인산 모노에스터 생성 엑소뉴클레이스
  • * EC 3.1.21.–: 5'-인산 모노에스터 생성 엔도디옥시리보뉴클레이스
  • * EC 3.1.22.–: 3'-인산 모노에스터 생성 엔도디옥시리보뉴클레이스
  • * EC 3.1.23.–: 결번 (EC 3.1.21.3, EC 3.1.21.4 또는 EC 3.1.21.5로 통합됨)
  • * EC 3.1.24.–: 결번 (EC 3.1.21.3, EC 3.1.21.4 또는 EC 3.1.21.5로 통합됨)
  • * EC 3.1.25.–: 부위 특이성을 갖는 대체 염기 특이성 엔도디옥시리보뉴클레이스
  • * EC 3.1.26.–: 5'-인산 모노에스터 생성 엔도리보뉴클레이스
  • * EC 3.1.27.–: 3'-인산 모노에스터 생성 엔도리보뉴클레이스
  • * EC 3.1.30.–: RNA 또는 DNA에 작용하는, 5'-인산 모노에스터 생성 엔도리보뉴클레이스
  • * EC 3.1.31.–: RNA 또는 DNA에 작용하는, 3'-인산 모노에스터 생성 엔도리보뉴클레이스
  • EC 3.2.–: 당 분자의 글리코사이드 결합에 작용하는 효소 (당 가수분해효소, Glycosylase|글리코실레이스eng)
  • * EC 3.2.1.–: 글리코사이드 가수분해효소 (배당체 결합 가수분해 효소)
  • * EC 3.2.2.–: ''N''-글리코실 화합물 가수분해효소
  • * EC 3.2.3.–: ''S''-글리코실 화합물 가수분해효소
  • EC 3.3.–: 에터 및 싸이오에터 결합에 작용하는 효소
  • * EC 3.3.1.–: 싸이오에터 트라이알킬설포늄 가수분해효소
  • * EC 3.3.2.–: 에터가수분해효소
  • EC 3.4.–: 펩타이드 결합 가수분해효소 (펩티데이스, Protease|프로테에이스eng)
  • * EC 3.4.1.–: α-아미노아실 펩타이드 가수분해효소 (폐지됨)
  • * EC 3.4.2.–: 펩타이드성 아미노산 가수분해효소 (폐지됨)
  • * EC 3.4.3.–: 다이펩다이드 가수분해효소 (폐지됨)
  • * EC 3.4.4.–: 펩타이드성 펩타이드 가수분해효소 (폐지됨)
  • * EC 3.4.11.–: 아미노펩티데이스
  • * EC 3.4.12.–: 펩타이드성 아미노산 가수분해 효소 또는 아실 아미노산 가수분해 효소
  • * EC 3.4.13.–: 다이펩티데이스
  • * EC 3.4.14.–: 다이펩티딜 펩티데이스 및 트라이펩티딜 펩티데이스
  • * EC 3.4.15.–: 펩티딜 다이펩티데이스
  • * EC 3.4.16.–: 세린성 카복시펩티데이스
  • * EC 3.4.17.–: 금속 프로테아제
  • * EC 3.4.18.–: 시스테인성 카복시펩티데이스
  • * EC 3.4.19.–: 오메가 펩티데이스
  • * EC 3.4.21.–: 세린 엔도펩티데이스
  • * EC 3.4.22.–: 시스테인 프로테아제
  • * EC 3.4.23.–: 아스파르트산 프로테아제
  • * EC 3.4.24.–: 기타 펩티데이스
  • * EC 3.4.25.–: 트레오닌 엔도펩티데이스
  • * EC 3.4.99.–: 촉매 메커니즘을 알 수 없는 엔도펩티데이스
  • EC 3.5.–: 펩타이드 결합 이외의 탄소-질소(C–N) 결합에 작용하는 효소
  • * EC 3.5.1.–: 선형 아마이드에 작용
  • * EC 3.5.2.–: 고리형 아마이드에 작용
  • * EC 3.5.3.–: 선형 아미딘에 작용
  • * EC 3.5.4.–: 고리형 아미딘에 작용
  • * EC 3.5.5.–: 나이트릴에 작용
  • * EC 3.5.99.–: 기타 화합물에 작용
  • EC 3.6.–: 산 무수물 결합에 작용하는 효소
  • * EC 3.6.1.–: 인 함유 산 무수물에 작용 (예: ATPase)
  • * EC 3.6.2.–: 설포닐 함유 산 무수물에 작용
  • * EC 3.6.3.–: 산 무수물에 작용하며 물질의 막 수송을 촉매함
  • * EC 3.6.4.–: 산 무수물에 작용하며 세포 또는 세포소기관의 운동에 관여
  • * EC 3.6.5.–: GTP에 작용하며 세포 또는 세포소기관의 운동에 관여
  • EC 3.7.–: 탄소-탄소(C–C) 결합에 작용하는 효소
  • * EC 3.7.1.–: 케톤에 작용
  • EC 3.8.–: 할로젠 결합에 작용하는 효소
  • * EC 3.8.1.–: 탄소-할로젠 화합물에 작용
  • * EC 3.8.2.–: 인-할로젠 화합물에 작용
  • EC 3.9.–: 인-질소(P–N) 결합에 작용하는 효소
  • EC 3.10.–: 황-질소(S–N) 결합에 작용하는 효소
  • EC 3.11.–: 탄소-인(C–P) 결합에 작용하는 효소
  • EC 3.12.–: 황-황(S–S) 결합에 작용하는 효소
  • EC 3.13.–: 탄소-황(C–S) 결합에 작용하는 효소

4. 4. EC 4: 분해효소

EC 4는 분해효소 그룹에 해당한다.[20][5] 이 효소들은 가수분해나 산화환원반응 외의 방법으로 기질로부터 특정 작용기를 제거하여 이중 결합을 형성하거나, 반대로 이중 결합에 작용기를 첨가하는 반응을 촉매한다. 즉, 기질로부터 작용기를 비가수분해적으로 첨가하거나 제거하며, 이 과정에서 C–C, C–N, C–O 또는 C–S 결합 등이 절단될 수 있다.[20][5] 전형적인 반응으로는 RCOCOOH → RCOH + CO2 또는 [X-A+B-Y] → [A=B + X-Y] 와 같은 형태가 있으며, 대표적인 예로는 탈카복실화효소가 있다.[20][5]

EC 4는 작용하는 결합의 종류에 따라 다음과 같이 하위 분류된다.

  • EC 4.1.–: 탄소-탄소 결합 분해효소
  • * EC 4.1.1.–: 카복실기 분해효소 (탈카복실화효소) - 카복실기의 분해에 작용한다.
  • * EC 4.1.2.–: 알데하이드 분해효소 (알돌레이스) - 알데하이드의 분해에 작용한다.
  • * EC 4.1.3.–: 옥소산 분해효소 - 옥소산의 분해에 작용한다.
  • * EC 4.1.99.–: 기타 탄소-탄소 분해효소
  • EC 4.2.–: 탄소-산소 결합 분해효소
  • * EC 4.2.1.–: 하이드로 분해효소 (탈수효소)
  • * EC 4.2.2.–: 다당류에 작용하는 분해효소
  • * EC 4.2.3.–: 인산기에 작용하는 분해효소
  • * EC 4.2.99.–: 기타 탄소-산소 분해효소
  • EC 4.3.–: 탄소-질소 결합 분해효소
  • * EC 4.3.1.–: 암모니아 분해효소 - 암모니아에 작용한다.
  • * EC 4.3.2.–: 아미딘 분해효소 - 아미딘에 작용한다.
  • * EC 4.3.3.–: 아민 분해효소
  • * EC 4.3.99.–: 기타 탄소-질소 분해효소
  • EC 4.4.–: 탄소- 결합 분해효소
  • EC 4.5.–: 탄소-할로젠화물 결합 분해효소
  • EC 4.6.–: -산소 결합 분해효소
  • EC 4.99.–: 기타 분해효소

4. 5. EC 5: 이성질화효소

EC 번호 5는 분자 내 재배열, 즉 단일 분자 내에서의 이성질화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 그룹인 이성질화효소(Isomerase)를 나타낸다. 이들 효소가 촉매하는 전형적인 반응은 `ABC → BCA` 형태로 표현될 수 있으며, 대표적인 예로는 이성질화효소와 뮤테이스가 있다.[20]

EC 5는 촉매하는 반응의 종류에 따라 다음과 같이 하위 분류된다.

  • EC 5.1.–: 라세미화효소 및 에피머화효소. 광학 이성질체의 상호 전환을 촉매한다.
  • EC 5.1.1.–: 아미노산 및 그 유도체에 작용한다.
  • EC 5.1.2.–: 하이드록시산 및 그 유도체에 작용한다.
  • EC 5.1.3.–: 탄수화물 및 그 유도체에 작용한다.
  • EC 5.1.99.–: 다른 화합물에 작용한다.
  • EC 5.2.–: 시스-트랜스 이성질화효소. 기하 이성질체의 상호 전환을 촉매한다.
  • EC 5.3.–: 분자 내 산화환원효소. 분자 내에서 산화환원 반응을 통해 이성질화를 촉매한다.
  • EC 5.3.1.–: 알도스케토스 간의 상호변환을 촉매한다.
  • EC 5.3.2.–: 케토-엔올 상호변환을 촉매한다.
  • EC 5.3.3.–: C=C 이중 결합의 위치 이동을 촉매한다.
  • EC 5.3.4.–: S–S 이황화 결합의 전위를 촉매한다.
  • EC 5.3.99.–: 기타 분자 내 산화환원효소.
  • EC 5.4.–: 분자 내 전이효소 (뮤테이스). 분자 내에서 작용기를 옮기는 반응을 촉매한다.
  • EC 5.4.1.–: 아실기를 옮긴다.
  • EC 5.4.2.–: 인산기를 옮긴다 (포스포뮤테이스).
  • EC 5.4.3.–: 아미노기를 옮긴다.
  • EC 5.4.4.–: 하이드록실기를 옮긴다.
  • EC 5.4.99.–: 기타 작용기를 옮긴다.
  • EC 5.5.–: 분자 내 분해효소. 분자 내에서 결합을 끊고 재배열하는 반응을 촉매한다.
  • EC 5.99.–: 기타 이성질화효소. 다른 분류에 속하지 않는 이성질화 반응을 촉매한다.

4. 6. EC 6: 연결효소

연결효소(리가아제)는 ATP의 분해와 함께 새로운 C–O, C–S, C–N 또는 C–C 공유 결합의 합성을 통해 두 분자를 함께 결합시키는 반응을 촉매한다.[5] 전형적인 반응식은 X + Y + ATP → XY + ADP + Pi 이며, 대표적인 예로는 합성효소가 있다.[5][20]

연결효소의 하위 분류는 다음과 같다.

  • EC 6.1.–: 탄소-산소 결합을 형성함
  • * EC 6.1.1.–: 아미노아실-tRNA 및 관련 화합물을 생성하는 연결효소
  • EC 6.2.–: 탄소-황 결합을 형성함
  • * EC 6.2.1.–: 산과 싸이올을 결합시킴
  • EC 6.3.–: 탄소-질소 결합을 형성함
  • * EC 6.3.1.–: 산-암모니아 연결효소 및 산-아민 연결효소 (아마이드 합성)
  • * EC 6.3.2.–: 산-D-아미노산 연결효소 (펩타이드 합성)
  • * EC 6.3.3.–: 고리 닫음 반응을 일으킴
  • * EC 6.3.4.–: 기타 탄소-질소 결합을 형성함
  • * EC 6.3.5.–: 탄소-질소 결합을 형성하는 것 중 글루타민이 아마이드-''N''-공여체가 되는 것
  • EC 6.4.–: 탄소-탄소 결합을 형성함
  • * EC 6.4.1.–: 탄소-탄소 결합을 형성함
  • EC 6.5.–: 인산 에스터 결합을 형성함
  • * EC 6.5.1.–: 인산 에스터 결합을 형성함
  • EC 6.6.–: 질소-금속 결합을 형성함
  • * EC 6.6.1.–: 배위 복합체를 형성함

4. 7. EC 7: 자리옮김효소

EC 7은 자리옮김효소 (Translocase|트랜스로케이스eng)를 분류한다. 이 효소들은 생체막을 가로지르는 이온 또는 분자의 이동이나 막 내에서의 분리를 촉매한다.[5][20] 대표적인 예로는 막 수송 단백질수송체 등이 있다.[5][20]

기존에 EC 1 (산화환원효소)이나 EC 3 (가수분해효소)으로 분류되었던 효소 중, 산화환원반응이나 가수분해반응을 이용하여 이온이나 분자 등을 생체막을 가로질러 이동시키는 일부 막 수송 단백질 (예: ABC 수송체)이 EC 7로 새롭게 분류되었다.

그러나 농도 기울기나 전위차를 이용하는 2차 능동 수송체수동수송을 수행하는 이온 통로, 포린 등은 EC 7로 분류되지 않는다.

EC 7은 다음과 같이 하위 분류된다.

  • '''EC 7.1.–''': 양성자의 이동을 촉매함
  • '''EC 7.2.–''': 무기 양이온의 이동을 촉매함
  • '''EC 7.3.–''': 무기 음이온 및 이를 킬레이트한 분자의 이동을 촉매함
  • '''EC 7.4.–''': 아미노산펩타이드의 이동을 촉매함
  • '''EC 7.5.–''': 탄수화물과 그 유도체들의 이동을 촉매함
  • '''EC 7.6.–''': 기타 분자의 이동을 촉매함

5. 반응 유사성

효소 반응 간의 유사성은 결합 변화, 반응 중심 또는 하부 구조 매트릭(이전의 EC-BLAST, 현재는 EMBL-EBI 효소 포털)을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16]

6. 역사

EC 번호 체계가 개발되기 전에는 효소를 임의적인 방식으로 명명했다. 예를 들어, 어떤 반응을 촉매하는지에 대한 정보가 거의 또는 전혀 없는 오래된 노란색 효소(old yellow enzyme)나 말산효소와 같은 이름이 흔히 사용되었다. 이러한 이름 대부분은 더 이상 사용되지 않지만, 펩신이나 파파인처럼 특이성이 매우 낮은 단백질가수분해효소의 이름은 특이성에 기반한 합리적인 분류가 어려워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1950년대에 이르러 이러한 명명 방식의 혼란이 심해지자, 효소 분류 체계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호프만 오스텐호프(Hoffman-Ostenhof)[17][7]와 말콤 딕슨(Malcolm Dixon), 에드윈 C. 웹(Edwin C. Webb)[18][8] 등이 효소 촉매 반응을 분류하기 위한 유사한 체계를 제안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1955년 브뤼셀에서 열린 국제 생화학 회의(International Congress of Biochemistry)에서 말콤 딕슨을 의장으로 하는 효소 위원회(Enzyme Commission)가 설립되었다.

효소 위원회는 1961년에 첫 번째 공식 효소 목록 및 분류 체계를 출판했다. 위원회는 이때 해산되었지만, 'EC 번호'라는 용어는 이 위원회의 이름에서 유래하여 계속 사용되고 있다. 이후 분류 체계는 계속 개정되었으며, 1992년에 국제 생화학·분자생물학 연합(IUBMB)에서 6판을 출판했다. 이 6판은 3,196개의 서로 다른 효소를 포함했으며, 인쇄본으로 출판된 마지막 공식 버전이다. 부록 1부터 4까지는 1993년부터 1999년 사이에 출판되었다. 그 이후의 보충 자료 및 개정 내용은 IUBMB 명명 위원회 웹사이트를 통해 전자적으로 공개되고 있다.[20][5]

가장 최근의 주요 개정은 2018년 8월에 이루어졌는데, IUBMB는 자리옮김효소(translocase)를 포함하는 새로운 최상위 분류인 EC 7을 추가하여 시스템을 수정했다.[19][9]

7. 명명법

효소의 이름은 국제 생화학·분자생물학 연합(IUBMB)의 효소 위원회에서 정식으로 명명될 때 EC 번호가 함께 부여된다.[7][8] 효소의 명칭에는 체계적인 규칙에 따라 명명되는 계통명과 일상적으로 더 자주 사용되는 관용명이 있다.

EC 번호는 효소가 촉매하는 화학 반응의 종류(반응 특이성)와 작용하는 기질의 종류(기질 특이성)에 따라 효소를 분류하는 시스템이다. 따라서 효소의 계통적 명명법과 EC 번호는 밀접한 관련이 있다. EC 번호는 "EC"라는 접두사와 함께 마침표로 구분된 네 개의 숫자(EC X.X.X.X)로 표기되며, 각 숫자는 효소 분류의 계층을 나타낸다. 첫 번째 숫자는 효소가 촉매하는 주된 반응의 종류를 의미하며, 다음과 같이 7가지 주요 그룹으로 나뉜다.


  • EC 1: 산화환원효소 (옥시도레덕타제) - 산화·환원 반응 촉매
  • EC 2: 전이효소 (트랜스퍼라제) - 작용기를 한 분자에서 다른 분자로 옮김
  • EC 3: 가수분해효소 (하이드롤라제) - 가수분해 반응 촉매
  • EC 4: 분해효소 (리아제) - 가수분해산화·환원 반응 없이 기질에서 특정 작용기를 제거하여 이중 결합을 만들거나, 반대로 이중 결합에 작용기를 붙이는 반응 촉매
  • EC 5: 이성질화효소 (아이소머라제) - 분자 내 원자 배열을 바꿔 이성질체 생성
  • EC 6: 연결효소 (리가아제) - ATP와 같은 고에너지 인산 결합을 분해하며 얻는 에너지를 이용하여 두 분자를 연결
  • EC 7: 자리옮김효소 (트랜스로카제) - 이온이나 분자를 생체막을 가로질러 이동시키는 반응 촉매


EC 번호는 특정 효소 단백질 자체를 식별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화학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 그룹에 부여된다. 따라서 동일한 반응을 촉매하지만 아미노산 서열이 다른 아이소자임들은 같은 EC 번호를 갖는다.[10] 현재 약 8,000 종류의 효소 반응이 분류되어 있다.[10]

7. 1. 관용명

효소의 이름에는 계통명과 함께 관용명이 붙는다. 관용명은 국제 생화학·분자생물학 연합(IUBMB)의 효소 위원회에서 계통명과 함께 정한다.[7][8] 예를 들어 EC 번호 1.1.1.1 효소의 계통명은 '알코올:NAD+ 산화환원효소'이지만, 관용명은 알코올 탈수소효소이다.

관용명은 기본적으로 계통명과 비슷한 규칙으로 정해지지만, 기질 이름의 일부를 생략하여 더 짧게 부를 수 있다. 하지만 모든 관용명이 명명 규칙을 따르는 것은 아니며, DNA 중합효소처럼 규칙에서 벗어난 이름도 많다.

EC 번호 시스템이 개발되기 전에는 효소 이름이 임의로 정해지는 경우가 많아, 촉매 반응에 대한 정보가 거의 없는 '오래된 황색 효소'나 '사과산 효소' 같은 이름도 사용되었다. 특히 펩신, 트립신, 키모트립신, 카탈레이스, 파파인처럼 오래전에 발견되어 이름 붙여진 효소들은 당시의 이름이 그대로 관용명으로 사용되고 있다.[5] 이러한 효소들, 특히 특이성이 매우 낮은 단백질 분해 효소의 경우, 특이성에 기반한 명확한 분류가 어려웠기 때문에 기존 이름이 계속 쓰이고 있다.

7. 2. 계통명

계통명효소기질 분자 명칭(복수일 경우 병기)과 반응의 명칭을 연결하여 명명하는 방식이다.[1][2] 예를 들어, EC 번호 1.1.1.1에 해당하는 효소의 계통명은 '알코올:NAD+ 산화환원효소'이다.[1][2] 이는 기질인 알코올과 NAD+, 그리고 반응의 종류인 산화환원 반응을 결합하여 만든 이름이다.[1][2]

계통명에서 사용하는 반응 명칭에는 규제가 있으며, 원칙적으로 다음 중 하나가 사용된다.[1][2]

  • 최상위 분류군 (EC 1~7의 명칭): 산화환원효소, 전이효소, 가수분해효소, 분해효소 (리아제), 이성질화효소, 연결효소, 자리옮김효소[1][2]
  • 에피머화 반응: 에피머화효소 (에피머레이스)[1][2]
  • 분자 내 전이: 뮤테이스[1][2]
  • 라세미화 반응: 라세미화효소 (라세메이스)[1][2]

참조

[1] 서적 Enzyme nomenclature 1992: recommendations of the Nomenclature Committee of the International Union of Biochemistry and Molecular Biology on the nomenclature and classification of enzymes https://archive.org/[...] Academic Press
[2] 웹사이트 ENZYME (Enzyme nomenclature database) http://www.expasy.or[...] ExPASy 2019-04-24
[3] 논문 Non-homologous isofunctional enzymes: a systematic analysis of alternative solutions in enzyme evolution
[4] 논문 UniProt: the Universal Protein knowledgebase 2004-01
[5] 웹사이트 Recommendations of the Nomenclature Committee http://www.sbcs.qmul[...] International Union of Biochemistry and Molecular Biology on the Nomenclature and Classification of Enzymes by the Reactions they Catalyse 2006-03-14
[6] 논문 EC-BLAST: a tool to automatically search and compare enzyme reactions 2014-02
[7] 논문 Suggestions for a more rational classification and nomenclature of enzymes
[8] 서적 Enzymes Longmans Green
[9] 웹사이트 Enzyme Nomenclature News: Translocases (EC 7): A new EC Class http://www.enzyme-da[...] ExplorEnz: the primary source of the IUBMB enzyme list 2018-08
[10] 웹사이트 All enzymes in BRENDA https://www.brenda-e[...] 2020-02-25
[11] 웹사이트 新設された酵素分類EC7の和名提案について http://www.jbsoc.or.[...] 2020-02-25
[12] 서적 Enzyme nomenclature 1992: recommendations of the Nomenclature Committee of the International Union of Biochemistry and Molecular Biology on the nomenclature and classification of enzymes https://archive.org/[...] Academic Press
[13] 웹인용 ENZYME (Enzyme nomenclature database) http://www.expasy.or[...] ExPASy 2019-04-24
[14] 저널 Non-homologous isofunctional enzymes: a systematic analysis of alternative solutions in enzyme evolution
[15] 저널 UniProt: the Universal Protein knowledgebase 2004-01
[16] 저널 EC-BLAST: a tool to automatically search and compare enzyme reactions 2014-02
[17] 서적 Advances in Enzymology and Related Areas of Molecular Biology
[18] 서적 Enzymes Longmans Green
[19] 웹인용 Enzyme Nomenclature News: Translocases (EC 7): A new EC Class http://www.enzyme-da[...] ExplorEnz: the primary source of the IUBMB enzyme list 2018-11-03
[20] 웹인용 Recommendations of the Nomenclature Committee http://www.sbcs.qmul[...] International Union of Biochemistry and Molecular Biology on the Nomenclature and Classification of Enzymes by the Reactions they Catalyse 2006-03-14
[21] 웹인용 BRENDA의 모든 효소 https://www.brenda-e[...] 2020-02-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